경제
-
정보처리기사 필기 12시간 완성경제/자격증 2024. 10. 4. 23:02
IT 자격증 하나 없이 회사 다니고 시스템 개발하고 PM 하면서 잘 살아 왔는데 이제 세상이 많이 변한 거 같다.자격증이 없으면 자격증을 가진자 보다 더 실력이 없는 사람으로 평가 되니 말이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을 위한 공부 방법 소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가장 만만한 책을 하나 구매 한다. (정가 35,000원) 대한민국 시험은 대부분이 서술형이 아니라 답을 찍는 시험이다.1과목이라도 40점 이하면 탈락이니 이 부문은 조심해야 하고, 전체 평균은 60점을 넘어야 함. 공부할 시간도 없고 나이 먹으니 책상에서 1시간 이상 집중을 할 수도 없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1시간 단위로 끊어서 공부하고 10분 이상 휴식을 취한다. 1. 처음은 전체적인 시험 범위를 알기 위해 대략적으로 책을 읽..
-
2024년 SQLD 자격증 10시간 준비경제/자격증 2024. 10. 4. 22:58
시험을 신청하고 미리 공부를 해야 하는데 역시나 나이가 들어도 학생증후군은 인간의 본성인거 같다.시험 날짜가 당장 2~3일 앞으로 다가와야 책을 집중해서 읽어 보니 말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가장 잘 팔리고 있는 책을 구매한다. 시험범위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데이터 모델링의 이해데이터 모델의 이해엔터티속성관계식별자데이터 모델과 SQL정규화관계와 조인의 이해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NULL 속성 이해본질 식별자 vs 인조식별자SQL 기본 및 활용SQL 기본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SELECT함수WHEREGROUP BY, HAVINGORDER BY조인표준 조인SQL 활용서브 쿼리집합 연산자그룹 함수윈도우 함수TOP N 쿼리계층형 질의와 셀프 조인PIVOT 절과 UNPIVOT 절정규 표현식관리구문DMLTC..
-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12시간 준비경제/자격증 2024. 10. 4. 22:55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을 준비했다. 내용이 별거 없는 줄 알고 시험 2~3일 전부터 책을 봤는데 내용이 생각보다는 많았다. 책은 온라인 서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것으로 구매. 2024년부터 단답형 주관식 문제는 제외되었다. 총 50문제로 각 2점씩이고 시험 시간은 90분. 100점 기준 60점 이상 취득해야 하고 과목별 40% 미만이면 과락이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과목 범위데이터 이해데이터의 이해데이터의 가치와 미래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데이터 분석 기획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분석 마스터 플랜데이터 분석데이터 분석 개요데이터 마트통계 분석정형 데이터 마이닝 3일 정도 시간 쓰고 1일차는 데이터 이해와 분석 기획, 2일차에는 데이터 분석을 공부,3일차에는 기출 문제를 ..
-
나도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증이나 따볼까?경제/ICT 2021. 4. 5. 23:53
작년 12월 1회 시험이 코로나19로 취소되고, 21년 4월에 2회 시험이 시행된다. 2회 시험이지만 첫 시험이다. 아직도 코로나 상황이 좋지는 않지만 한번 취소를 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시험이 강행 될 듯 하다. 딱 12일 남았다. 12일만 죽어라 공부해보자. 대학 졸업자면 시험을 볼 수 있다. 국가 시험이 그렇듯이 평균 60점 이상만 맞으면 된다. 단, 과목당 40점 이하가 나오면 탈락이다. 실기는 필기 합격 후 고민하면 된다. 지금은 일단 필기만 준비하자. 10년 전 컴공 졸업한 공대생들만 알던 지식인데 국가 자격증으로까지 나온걸 보면, 일반 문과생들도 공부할 수 있는 분야로 지식이 보편화 되었다는 말이다. 솔직히 요즘 빅데이터 처리와 클라우드 사용없이 상용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는..
-
AI Expo Korea 2021을 다녀오다경제/ICT 2021. 3. 29. 23:46
오랫만에 AI 전시회를 다녀 왔다. 국내 이벤트에는 볼 내용이 없어서 보통은 토쿄 빅 사이트에서 하는 AI Expo Tokyo나AI・人工知能EXPO【秋】| リード エグジビション ジャパン株式会社ディープラーニング、機械学習、自然言語処理、ハードウェア、ビッグデ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などを取扱う企業が出展。www.ai-expo-at.jp실리콘 벨리의 AI Summit을 가는데 올해는 코로나19로 국내 이벤트에 다녀왔다. The Virtual AI Summit Silicon Valley, Sept 30 - Oct 01Enabling the AI ecosystem with the only event dedicated to turning R&D into ROI.sanfrancisco.theaisummit.com마지막날이라 사..
-
주린이 공부, 공모주 청약 SK바이오사이언스경제/주식 2021. 3. 24. 23:05
언론에서 작년부터 계속 공모주가 언급되어 처음으로 시도했다. 이달 공모 단가 65,000원인 SK바이오사이언스를 250주 신청했다. 청약 증거금으로 8,125,000원을 넣었다. 나무 앱으로 신청을 했고 주관사가 NH라 운이 좋아서 된건지 모르지만 2주가 배정 되었다. 생각보다 '너무 적네'하고 실망을 했다.첫날 상한가라 기분이 좋았다. 두째날부터 계속 떨어졌다. 4일째 되는 날 계속 떨어지는 추이가 보여서 그냥 바로 팔았다. 65,000원 x 2주 = 130,000원이 투자금인데 282,000원에 팔았다. 151,342원의 실현 손익이 생겼다. 152,000원이 남아야 하는데 151,342원이 들어온 걸 보니 수수료가 자동으로 차감 된거 같다.아니지, NH나무앱은 평생 국내 수수료 무료인데 이건 뭐지?..
-
국내 IT개발자가 연봉 많이 받는다고?경제/ICT 2021. 3. 12. 23:55
언론 기사를 보면 요즘 IT개발자들은 신난다. 매주 연봉이 올라간다는 뉴스다. 특히 판교쪽은 난리가 난듯하다. 내가 대략 10년전 컴공 대학원 졸업하고 박사 휴학하고 병역특례(전문연구원) 할 때 연봉이 2천만원 중반 정도였다. 벤처 다니면 기본은 게임업계 만큼 일한다. 보통으로 일하면 주당 100시간. 이제 기본 연봉이 6천만원이라니 한국도 개발자 연봉이 많이 올라갔다. 한가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이들 개발자 중에 과연 얼마나 국내 50대 개발자가 있나 하는 것이다. 보통은 40대 중반부터 프로젝트 개발 PM으로 빠지고 40대 후반 또는 50대 부터는 관리자로 빠졌던 국내 현실이 게임업계나 요즘의 벤처 업계에서 어떻게 받아 들여지는 지가 궁금하다. 벤처회사는 대부분 50대는 없을 것이고 실력 안되면 그..
-
음성인식 서비스는 AI가 아니라고?경제/ICT 2021. 3. 7. 20:35
국내 언론에서 항상 잘못 사용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음성인식 = 인공지능(AI)라는 단어다. 음성만 인식하고 대답 하는 시스템을 AI라고 말하는데 이는 잘 못된 판단이다. 음성을 인식하고 대답하는 시스템은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선 Spoken Dialogue System 이라는 표현을 쓴다. 음성을 인식하고 그에 맞는 정답을 답변해 주는 간단한 시스템이다. 거의 20년 전 논문이지만 지금 구축되는 시스템이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요즘 나오는 서비스들이 AI라는 이름하게 뭔가 그럴듯하게 포장이 되고 있지만 정말 그 안은 사람들이 무식하게 정의한 규칙이다. 스스로 학습한다고? 정말 묻고 싶다. 그게 가능한지? 20년 전과 똑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보여 주기식 음성인식 서비스는 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