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
AI Expo Korea 2021을 다녀오다경제/ICT 2021. 3. 29. 23:46
오랫만에 AI 전시회를 다녀 왔다. 국내 이벤트에는 볼 내용이 없어서 보통은 토쿄 빅 사이트에서 하는 AI Expo Tokyo나AI・人工知能EXPO【秋】| リード エグジビション ジャパン株式会社ディープラーニング、機械学習、自然言語処理、ハードウェア、ビッグデ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などを取扱う企業が出展。www.ai-expo-at.jp실리콘 벨리의 AI Summit을 가는데 올해는 코로나19로 국내 이벤트에 다녀왔다. The Virtual AI Summit Silicon Valley, Sept 30 - Oct 01Enabling the AI ecosystem with the only event dedicated to turning R&D into ROI.sanfrancisco.theaisummit.com마지막날이라 사..
-
음성인식 서비스는 AI가 아니라고?경제/ICT 2021. 3. 7. 20:35
국내 언론에서 항상 잘못 사용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음성인식 = 인공지능(AI)라는 단어다. 음성만 인식하고 대답 하는 시스템을 AI라고 말하는데 이는 잘 못된 판단이다. 음성을 인식하고 대답하는 시스템은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선 Spoken Dialogue System 이라는 표현을 쓴다. 음성을 인식하고 그에 맞는 정답을 답변해 주는 간단한 시스템이다. 거의 20년 전 논문이지만 지금 구축되는 시스템이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요즘 나오는 서비스들이 AI라는 이름하게 뭔가 그럴듯하게 포장이 되고 있지만 정말 그 안은 사람들이 무식하게 정의한 규칙이다. 스스로 학습한다고? 정말 묻고 싶다. 그게 가능한지? 20년 전과 똑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보여 주기식 음성인식 서비스는 사라..
-
정말로 자연어 처리가 인공지능인가?경제/ICT 2021. 2. 6. 23:00
이런 뉴스기사가 AI를 잘못 설명한다. GPT-3 관련된 내용은 자연어 처리영역이고 AI와는 연관이 있지만 더 작은 부분이다. 언론 기사에서는 한국어 언어처리도 AI, 음성인식 서비스도 AI, 음성합성 서비스도 AI다. 10년 전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모든 제품 앞에 '스마트'라는 단어가 붙었던 트렌드같다. 그 전에는 유비쿼터스, 퍼지 등이 사용되었다. 이유를 알겠다. AI(인공지능)이란 단어를 붙여야 사람들이 한번 더 기사를 보기 때문이다. AI와 연관이 없지만 요즘 트렌드인 인공지능이란 단어를 기사 속에 계속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