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알? 아직도 재택근무 안하니?경제/ICT 2021. 2. 1. 23:27
"재택이야?", "오늘 회사 출근해?"
요즘 업무를 보면서 전화 통화할 때 가장 먼저 물어보는 말이다. 재택근무가 일상이 되어버렸다. 회사에 출근해서 동료들이랑 같이 커피한 잔 하면서 수다 떨어 본지가 언제인지 기억도 안난다.
작년 3~4월 쯤이다. 전 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코로나가 빠르게 퍼지고 사회, 경제가 마비되려고 했다. 그 후 미국과 유럽의 많은 IT기업들이 100% 재택근무(월~금요일)로 전환했다. 물론 한국보다 상황이 훨씬 좋지 않아 더 빠르게 전환해버린 요인도 있을 것이다.
외국에선 IT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시작한건 꽤 오래전 부터다. 외국에 있는 내 친구들 케이스를 보면 13년 전인 2008년 정도부터 이미 회사를 대면 미팅 필요 시에만 2일 정도 나갔고 나머지 3일은 집에서 일했다. 친구집에 게임하러 놀러갈 때면 항상 다른 방 하나는 회사 일을 하는 작업방으로 쓰고 있었다. 이 당시에는 MS 메신져로 고객 또는 동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했다.
외국의 MS나 Sony에서 근무하는 친구들은 아직도 풀 재택근무다. 회사를 일주일에 단 하루도 안나간다. Google, Amazon, MS 등은 올 여름까지 풀 재택근무라는 가이드도 나왔다.
국내의 경우를 보자. 작년 봄, 여름이 지나도 국내 IT 기업 중 극소수의 회사만 재택근무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은 재택근무를 허용했지만 다들 상사 눈치를 보면서 출근했다. 딱 10개월 전 내가 외국 친구들에게 불평했던 말이 생각난다.
"한국은 재택근무를 해본적이 없어서 아직 제도만 있지 정착되기는 힘들 것 같어. 재택근무를 하라고 해도 다들 눈치보면서 출근해. 나도 너처럼 풀 재택근무(월~금) 하고 싶다"
아직 1년도 채 지나지 않았다. 국내 재택 근무의 비율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20년 7월 자료 기준으로 재택근무 비율이 대기업 51%정도 였다. '20년 12월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 74.5%으로 23.5%가 늘었다.
아직 코로나가 빠르게 퍼져갈 수 있는 환절기이고 겨울이라 그렇수도 있겠지만, 이제는 바보나 꼰대가 아닌이상 재택 근무가 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공감대가 회사내에서 형성이 되었다. 임원보고도 비대면도 많아졌다.
이제 재택근무도 문화로 정착되어야 한다. 코로나가 '22년에 종식된다고 해도 모두 매일 다시 출근하라고 하면 반발이 생길 수 있다. 이렇게 효율적인 재택근무를 나두고 왜 매일 2시간씩 길거리에서 시간을 버리며 출퇴근을 해야 하는지. 이제 이해가 안갈 때도 있다. 코로나가 없어져도 60% 이상으로 재택근무를 하도록 제도화 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다. 급하게 대면 미팅이나 고객을 꼭 만나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출근 하는 것이 맞다. 일주일에 4일 재택을 해도 회사 업무는 전혀 이상없이 돌아간다. 확인했고 작년에 검증했다.
100% 재택(월요일~금요일)은 아직 모두에게 익숙하지 않아 조금 힘들 수 있다. 그리고 재택 근무를 악용하는 케이스도 분명 나올 수있다. 재택근무자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또 나오면 된다. 요점은 사람 관리가 아니다. 재택근무가 회사 업무 타입의 하나로 정착이 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21년 코로나 종식 후에도 1주일에 3일 이상 재택근무가 제도화 되기를 희망한다.
'경제 > I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IT개발자가 연봉 많이 받는다고? (0) 2021.03.12 음성인식 서비스는 AI가 아니라고? (0) 2021.03.07 핵가성비 LCD와 OLED TV 비교 (0) 2021.02.15 2021년 뜨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9가지 (0) 2021.02.10 정말로 자연어 처리가 인공지능인가? (0) 2021.02.06